해외위해정보

농수산식품유럽식품안전청, 유럽 식이섭취량의 참고 값 설정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원문보기

2010-03-28

유럽식품안전청, 유럽 식이섭취량의 참고 값 설정

 

식이요법, 영양소와 알레르기에 관한 유럽식품안전청의 패널은 탄수화물, 식이 섬유, 지방과 수분에 대한 식이섭취량의 참고 값을 설정했다. 영양학적 섭취량에 대한 유럽식품안전청의 권고는 건강식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나 소비자 정보 개발, 식생활에 관련된 공중건강 타깃을 설정하는 영양학적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오늘 발행되는 의견은 회원국, 과학적 지역공동체와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협의회 후에 패널에 의해 채택되었다. 협의회는 유럽식품안전청이 가장 넓은 시야를 가지고 최근 정보의, 명확하고 포괄적인 충고를 유럽연합 의사결정자에게 전달하도록 이 일을 최종 화하는 임무를 맡도록 하였다.

 

식이섭취량 참고 값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인간의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개인적인 영양성분의 값을 말한다. 유럽위원회는 유럽식품안전청에 새로운 과학적인 의견과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화되는 제안점등을 고려한 이 분야의 가장 최근의 유럽의 권고안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했다. 유럽식품안전청은 오늘 탄수화물, 식이섬유, 지방과 수분에 대한 식이섭취량 참고 값(DRVs)에 관한 의견을 제공한다. 비타민과 미네랄에 대한 의견은 곧 이어질 것이다.

 

패널 협의회는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총 탄수화물섭취량은 – 감자와 파스타 같은 전분질 음식부터 설탕과 같은 단순 당까지 포함한 – 성인과 아동 모두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45%에서 60%의 범위 안에 들어야 한다.

 

설탕에 대하여, 설탕함량이 높은 음식을 자주 소비하는 것이 충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좋은 증거가 있다. 데이터는 또한 가당 음료의 잦은 섭취와 살찌는 것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패널은 그러나 설탕에 상한기준을 제시하는데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이것은 일어날 수 있는 건강영향이 총 설탕 섭취량보다는 식품 섭취의 패턴(얼마나 자주 그 음식을 섭취하느냐에 관련)과 주로 관련돼있기 때문이다. 설탕의 소비패턴에 관련한 증거(식품을 개발하고 영양 권장량을 만들 때 정책결정자가 고려해야 하는)는 국가적인 수준에 대한 식생활 가이드라인에 기초한다.

 

•성인이 정상적인 위장작용을 할 때식이 섬유는 하루 25g이 적절하다. 추가적으로 성인의 경우 건강이 더 많은 식이섬유를 소비하는 것과 관련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심장 질환, 제 2타입의 당뇨병의 발병위험을 낮추고 체중유지에 관여함).

 

•체중 유지와 식이성 질환 예방과 관련된 당지수(glycemic index)와 당부하지수(glycemic load)의 역할에 대한 증거는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았다.

 

지방의 섭취량은 총 에너지 섭취량의 20%에서 35%사이여야 한다. 신생아와 유아에는 그들의 세부적인 성장 필요량을 고려한 다른 값이 적용된다.

 

포화지방산트랜스지방산의 높은 소비는 심장 질병을 발전시키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높이는 데 역할을 한다는 좋은 증거가 있다.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의 섭취량 제한(식품을 개발하고 영양 권장량을 만들 때 정책결정자가 고려해야 하는)은 국가적인 수준에 대한 식생활 가이드라인에 기초한다.

 

•성인의긴 체인의 오메가 3 지방산의 일일 섭취량은 250mg이고 이것은 심장질환의 위험을 낮춰줄 수 있다.

 

•여성의 경우 2리터, 남성의 경우 2.5리터의 수분섭취량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NDA 패널은 또한 두 가지의 다음의견을 발행했다. 한 가지는 식이 섭취량의 참고 값을 설정할 때의 기본적인 원칙을 나열한 것이고, 나머지 한 가지는 식품에 대한 메시지를 영양학적 의견으로 바꾸는 방법에 대한 충고(food-based dietary guidelines - FBDGs라고 불리는)를 정책결정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FBDGs는 소비자에게 무엇을 먹어야 하는지와 건강한 식생활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가이드가 될 것이다.

 

이 의견은 협의회 과정순서에 따라 2008년과 2009년에 제공된 의견을 통해 최종 화되어 발간되었다.

 

2009년 9월에 유럽식품안전청은 또한 초기의견에 대한 의견을 교류하기 위해 회원국들의 영양 전문가들을 모아 특별 전문가 회의를 열었다.

 

* 출처: 유럽식품안전청, 2010년 3월 26일자.

* 관련 URL :http://www.efsa.europa.eu/en/press/news/nda100326.htm

http://www.efsa.europa.eu/en/events/event/af090907.htm


해당 정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담당부서 식품안전정보원
연락처 1811-6496